논문투고 규정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논문투고규정
[제정 1995. 11. 18]
[개정 2019. 12. 13]
[개정 2020. 06. 30]
[개정 2022. 05. 28]
논문체제
-
1. 논문의 작성은 다음 체제에 준한다.
논문 작성 체제
국문초록
논문 제목
저자(소속, 직위)
요약
주요어
본문
서론(연구의 필요성, 목적, 가설) 및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영문초록
(Abstract)
논문 제목
저자(소속)
요약
Key words
- 1) 논문은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 순으로 구성한다.
- 2) 원고 첫 페이지인 국문초록은 논문 제목, 저자(소속, 직위) 순으로 기재한다. 저자가 대학 교원인 경우 교수, 강사 등 직위를 기재하고 저자가 대학원생일 경우 ○○대학교, 학생으로 기재한다. 저자가 단체나 기관에 종사할 경우는 단체나 기관명을 기재한다.
- 3) 초록은 간결하고 핵심적이어야 하며 분량은 국문초록 기준 900자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 4) 주요어는 논문의 중요한 단어(Key words)를 2-5개 정도로 표시한다.
- 5) 본문의 번호체계는 순차적인 일련 번호[1, 1), (1), ...]에 따라 표기한다.
- 6) 본문의 이론적 배경(혹은 관련 연구)은 서론 부분에 포함시키거나 별도의 장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구 결과와 논의를 하나의 장으로 구성할 수 있다.
- 2. 원고의 서식은 가로로 하여 국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하게 외국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 )를 이용하여 표기한다.
-
3. 원고는 국문초록, 영문초록은 1단으로, 본문, 참고문헌은 2단으로 작성하며, 분량은 학회지 논문편집양식에 준하여 15매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15매 이상의 경우 편집위원장이 재투고를 요구할 수 있다.
- 1) 용지 설정
용지 종류
용지 방향
용지 여백(㎜)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머리말
꼬리말
사용자 정의(190X260mm)
세로
20
20
20
20
15
0
- 2) 다단 설정
단 개수
단 너비(㎜)
단 간격(㎜)
단 구분선
2
71
8
없음
- 4. 원고는 반드시 워드프로세서(한글 hwp)에 한글로 작성하되 영어로 된 논문의 투고를 허용한다.
- 5. 본문에서 외래어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우리말 의미를 덧붙이도록 한다.
논문 작성 체제 | |
---|---|
국문초록 |
논문 제목 저자(소속, 직위) 요약 주요어 |
본문 |
서론(연구의 필요성, 목적, 가설) 및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영문초록 (Abstract) |
논문 제목 저자(소속) 요약 Key words |
- 1) 논문은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 순으로 구성한다.
- 2) 원고 첫 페이지인 국문초록은 논문 제목, 저자(소속, 직위) 순으로 기재한다. 저자가 대학 교원인 경우 교수, 강사 등 직위를 기재하고 저자가 대학원생일 경우 ○○대학교, 학생으로 기재한다. 저자가 단체나 기관에 종사할 경우는 단체나 기관명을 기재한다.
- 3) 초록은 간결하고 핵심적이어야 하며 분량은 국문초록 기준 900자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 4) 주요어는 논문의 중요한 단어(Key words)를 2-5개 정도로 표시한다.
- 5) 본문의 번호체계는 순차적인 일련 번호[1, 1), (1), ...]에 따라 표기한다.
- 6) 본문의 이론적 배경(혹은 관련 연구)은 서론 부분에 포함시키거나 별도의 장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구 결과와 논의를 하나의 장으로 구성할 수 있다.
- 1) 용지 설정
용지 종류 용지 방향 용지 여백(㎜)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머리말 꼬리말 사용자 정의(190X260mm) 세로 20 20 20 20 15 0 - 2) 다단 설정
단 개수 단 너비(㎜) 단 간격(㎜) 단 구분선 2 71 8 없음
그림, 표 작성
- 6. 그림은 인쇄용 원고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선명하게 작성해서 첨부한다. 사진을 첨부할 경우 가급적 해상도가 높은 원본을 사용해서 제출한다.
- 7. 표 및 그림의 제목 내용은 반드시 국문 또는 영문혼용으로 작성한다. 그림과 표 제목 및 내용에 전문 용어를 원어로 직접 표기할 경우 우리말 의미를 덧붙인다.
- 8. 표 및 그림 제목의 번호를 본문에서 설명할 경우 <표 1> 또는 <그림 1>로 괄호를 사용해서 표기하고 표와 그림에서는 표 1. 또는 그림 1.과 같이 괄호 없이 표기한다.
- 9. 모든 표는 반드시 가로선으로만 작성한다. 단, 특별한 의미를 나타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세로선도 사용할 수 있다.
- 10.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 왼쪽에, 그림의 제목은 그림 하단 중앙에 표기한다.
- 11. 표 및 그림이 인용된 자료일 경우 표, 그림의 하단에 참고문헌 형식을 제시한다.
- 12. 표 및 그림에 필요한 단위는 반드시 원어로 표기한다.
수학 및 통계기호
- 1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치에 대한 공식 등은 논문 내용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 14. 통계 또는 수학식이 새로운 것이나 꼭 필요한 경우에는 논문에 제시한다.
- 15. 논문에서 추리 통계치를 제시할 때는 통계치 기호와 함께 자유도, 통계치, 유의수준(p<.05)을 같이 제시한다(이때 유의수준의 소수점 앞에는 0을 쓰지 않는다).
- 16. 피험자의 수를 기호로 나타낼 때는 전집의 경우 N으로, 표본 대상일 경우는 소문자 n을 사용한다.
서체 및 숫자
- 17. 통계 부호, 또는 수학의 변수로 사용된 문자는 이탤릭체로 작성한다(예시: F 값, Z 점수, t-검증, F(1.53) =10.03).
- 18. 화학 용어, 삼각 함수 용어, 그리스 문자, 약어로 쓰인 문자 등은 이탤릭체를 사용하지 않는다.
- 19. 일반적으로 본문 중의 10 이상의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고 10 이하의 수는 글자로 표시(예시: 15개, 68번째, 아홉 번째, 세 가지 이유 등)하며, 1,000 이상의 숫자에서는 세 자리씩 쉼표로 구분한다.
참고문헌
- 20. 참고문헌 작성 원칙은 미국심리학회 출판요강(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판에 준한다. 참고문헌의 나열은 먼저 한국 표기 문헌을 가, 나, 다 순으로 하고, 다음으로 외국 문헌을 알파벳 순으로 한다. 세부 주요 작성 원칙은 다음과 같다.
- 1) 정기 간행물 참고문헌의 표기(학술지 논문의 참고문헌 표기)
- 2) 잡지기사
- 3) 신문기사
- 4) 단행본 참고문헌의 표기
- 5) 학위논문
- 6) 인터넷 기사(자료) 인용
- 1) 정기 간행물 참고문헌의 표기(학술지 논문의 참고문헌 표기)
- 2) 잡지기사
- 3) 신문기사
- 4) 단행본 참고문헌의 표기
- 5) 학위논문
- 6) 인터넷 기사(자료) 인용
본문에서 참고문헌 인용
-
21. 다른 저자의 책, 출간된 연구물에서 인용된 자료, 검사 항목에서 따온 자료 및 피험자에 대한 언어적 지식 사항 등은 문자 그대로 표기한다(표기할 경우 인용 부호 <“ ”>로 인용문을 표시하고, 페이지 번호를 표기한다). 또한 문장을 인용하는 가운데 원 저자만의 단어 혹은 특정 단어를 강조하고 싶을 경우에는 ‘ ’를 사용할 수 있다.
예) She stated, “The ‘placebo effect’....disappeared when behaviors were studied in this manner” (Miele, 1993, p. 276), but she did not clarify which behaviors were studied.
예) Miele(1993) found that “the ‘placebo effect,’ which had been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disappeared when only the first group's behaviors were studies in this manner”(p. 276).
- 22. 40단어 이상의 인용문은 본문과 별도로 적고 인용부호는 생략한다. 별도로 인용문을 기술할 때는 문단을 바꾸고 왼쪽, 오른쪽을 각각 5자씩(왼쪽, 오른쪽 여백 10pt) 들여 쓴다.
- 23. 직접 인용을 할 때 본문에는 저자, 연도, 페이지를 표기하고, 간접 인용을 할 때 본문에는 저자, 연도만 표기한다. 참고문헌에 완전한 출처를 제시한다.
-
24. 저자가 1명 또는 2명인 경우 본문 내에 인용될 때마다 저자를 모두 표기한다. 다만, 쉼표와 접속사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시>
홍길동과 김철수(2014)는 ................. 라고 주장하였다.
Hong과 Kim(2014)은 ................. 에 대해 연구하였다.
.................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홍길동, 김철수, 2014).
................. 와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Hong & Kim, 2014).
-
25. 저자가 3명 이상 6명 이하인 선행 연구를 처음 참고문헌으로 인용할 때에는 모든 저자를 밝히고 두 번째부터는 첫 번째 저자의 이름(영문일 경우 성)만 쓰고 등(영문일 경우 et al.)과 연도만 표기한다. 저자가 7인 이상인 경우에는 첫 인용과 반용 인용 모두 첫 저자의 이름과 등(영문의 경우 et al.)으로 표기한다.
<예시>
홍길동, 김철수와 성춘향(2014)은 ................. 첫 인용
홍길동 등(2014)은 ................. 두 번째 이후 인용
Hong, Kim과 Sung(2014)은 ................. 첫 인용
Hong et al.(2014)은 ................. 두 번째 이후 인용
-
26. 본문 내용에 여러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인용될 때 한국인 먼저 가, 나, 다 순으로 배열하고, 그 다음 알파벳 순으로 ; 부호를 이용하여 배열한다.
<예시>
.................과 유사한 선행연구(김철수, 2012; 서우정, 2011; 한민족, 김민주 2013; Eady & Fink, 2008; Lee, 2009; Kim, Cho, & Ko, 2007)
-
27. 동일한 저자의 복합인용은 연대 순으로 하여 쉼표로 구분하고 저자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예시>
.................과 같이 나타났다(홍길동, 2002, 2013; Chelladurai, 2008, 2010, 2013)
-
28. 같은 해 동일 저자에 의한 한 편 이상의 논문은 연도를 기입한 후 a, b, c 등으로 표기하고 저자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예시>
.................과 같이 나타났다(홍길동, 2013a, 2013b; Chelladurai, 2008a, 2008b, 2008c)
-
29. 인터넷 신문기사의 인용인 경우 본문에는 기자명과 기사가 개시된 연도를 표기한다.
<예시>
김수경(2014)은 MLB에서 활약하고 있는 .................
예) She stated, “The ‘placebo effect’....disappeared when behaviors were studied in this manner” (Miele, 1993, p. 276), but she did not clarify which behaviors were studied.
예) Miele(1993) found that “the ‘placebo effect,’ which had been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disappeared when only the first group's behaviors were studies in this manner”(p. 276).
<예시>
홍길동과 김철수(2014)는 ................. 라고 주장하였다.
Hong과 Kim(2014)은 ................. 에 대해 연구하였다.
.................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홍길동, 김철수, 2014).
................. 와 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Hong & Kim, 2014).
<예시>
홍길동, 김철수와 성춘향(2014)은 ................. 첫 인용
홍길동 등(2014)은 ................. 두 번째 이후 인용
Hong, Kim과 Sung(2014)은 ................. 첫 인용
Hong et al.(2014)은 ................. 두 번째 이후 인용
<예시>
.................과 유사한 선행연구(김철수, 2012; 서우정, 2011; 한민족, 김민주 2013; Eady & Fink, 2008; Lee, 2009; Kim, Cho, & Ko, 2007)
<예시>
.................과 같이 나타났다(홍길동, 2002, 2013; Chelladurai, 2008, 2010, 2013)
<예시>
.................과 같이 나타났다(홍길동, 2013a, 2013b; Chelladurai, 2008a, 2008b, 2008c)
<예시>
김수경(2014)은 MLB에서 활약하고 있는 .................
기타 규정
- 1. 논문투고자는 논문투고 시 심사료 60,000원을 납부하고 학회 홈페이지(http://www.kssm.or.kr)에서 온라인으로 논문접수를 해야 한다.
- 2. 논문투고자는 심사 후, 게재가 확정되면 논문게재료 200,000원(B5용지 15페이지 기준)을 납부해야 한다.
- 3. 사사를 포함하는 연구비 수혜 논문의 경우에는 100,000원을 추가로 납부한다.
- 4.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은 본 학회의 승인 없이 무단 복제할 수 없다.
- 5. 심사료 및 게재료 납부 계좌번호 : 하나은행 534-910028-19905 이인엽(스산경편집국)
부 칙
본 규정은 1995년 11월 18일부터 시행한다.
부 칙
본 규정은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구분 | 글꼴 | 장평(%) | 자간(%) | 글자 크기 |
줄 간격 |
단수 | 내어 쓰기 |
들여 쓰기 |
정렬 | ||
---|---|---|---|---|---|---|---|---|---|---|---|
본문(기본) | KoPub바탕체 Light | 90 | -10 | 10p | 150% | 2 | 10pt | 양쪽 | |||
국문 초록 |
논문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6p | 150% | 1 | 가운데 | |||
부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2p | 150% | 1 | 가운데 | ||||
이름(소속)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0p | 150% | 1 | 가운데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0 | -10 | 9p | 150% | 1 | 10pt | 양쪽 | |||
본문 | 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4p | 150% | 2 | 가운데 | |||
1. 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0p | 150% | 2 | 10pt | 양쪽 | |||
1) 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0p | 150% | 2 | 10pt | 양쪽 | |||
표 | 제목 | KoPub돋움체 Light | 90 | -10 | 9p | 105% | 1 or 2 | 왼쪽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0 | -10 | 9p | 105% | 1 or 2 | - | ||||
그림 | 제목 | KoPub돋움체 Light | 90 | -10 | 9p | 105% | 1 or 2 | 가운데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0 | -10 | 9p | 105% | 1 or 2 | - | ||||
인용 | KoPub돋움체 Light | 90 | -10 | 10p | 150% | 2 | 왼쪽, 오른쪽 여백 10pt 양쪽 정렬 |
||||
참고 문헌 |
타이틀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4p | 150% | 2 | 가운데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0 | -10 | 10p | 150% | 2 | 35pt | 양쪽 | |||
영문 초록 |
논문 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2p | 150% | 1 | 가운데 | |||
부제목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1p | 150% | 1 | 가운데 | ||||
이름(소속) | KoPub바탕체 Bold | 90 | -10 | 10p | 150% | 1 | 가운데 | ||||
내용 | KoPub바탕체 Light | 90 | -10 | 9p | 150% | 1 | 10pt | 양쪽 |